[기자수첩] 염태영 수원시장 '공간의 벽'에 도전하라

  • 기사입력 2017.03.28 11:02
  • 기자명 정양수 기자

 

▲ 정양수 기자    

[정양수 기자]  결국 공간의 벽에 가로 막혀 있다.


민선 6기 염태영 수원시장은 수원시의 인구 팽창과 경계확장, 그리고 풀뿌리 민주주의에 대한 물음표는 하나하나 늘려갔고 점점더 답은 한곳으로 향하고 있다.


수원시의 경계를 늘릴 것인가, 수원시의 최적화된 발전방향을 미시적 시각으로 재조정할 것인가 등  철학적 담론이기도 하다.


인구 팽창은 결국 한계점에 도달해 있으며 어느 순간 수원시는 포화상태라는 말로 도시기능이 정체될 가능성이 높다.


지난 몇년동안 염태영 시장은 이 인구적 관점이나 한계적 관점에서 도시재생, 도시재개발, 환경정책 등에 대한 다양한 해법을 내놓았다.


그의 손을 거쳤고 그 과정에 대한 물음, 7년 시정의 끝자락에서 시민단체와 정면으로 부딪히고 있다.


수원 광교비상취수원 해제 논란은 이 '환경'과 '경계의 확장', '환경적 또는 기능적 도시재생' 등의 다양한 철학이 정면으로 충돌되고 있다.


내년이 선거이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128만 도시, 130만 대도시 수원시의 미래를 보는 눈이 달라서일 수도 있다.


그러나 염태영 수원시장이 시민단체가 중심으로 바라보고 있는, 또는 그 이외의 보수 야권과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시와 시민단체, 또는 광교주민과 시민단체 등의 대립구도는 언제나 있어왔던 구도다. 변화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철학의 싸움도 가능한 것이다.

 

이것은 기초지자체의 긍정적 신호로 보인다.


21세기의 수원시의 모습을 어떻게 그릴 것인가의 차이다. 이 논의에 대해서 수원시가 신중한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이 선례가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수원시 경계내의 도시구조 속에서 환경과 녹지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후손들에 대한 유산의 문제이기도 하다.


염태영 시장이 고민하는 것은 잘 알고 있다. 지도자는 한곳만을 보면 안된다. 풀뿌리 민주주의 속에서 협치는 지역에 한정되고 정파에 선을 그어놓지 않는다.


당연히 시경계를 확장시키면서 도시기능의 구조들을 분산시키면 된다.


한마디 화두를 던진다면 아파트 민주주의가 그 경계속에서만 확장된다면 결국 이기주의가 될 우려를 낳는다.


환경은 시 경계 내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보다 큰 시각적으로 생활권적인 사고가 필요하고 그 생활권은 곧 미래가치를 대변한다.


2018년을 앞두고 분명하 미래철학을 염태영 시장이 보여줘야 한다는 시민단체의 목소리에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탄핵정국 이후 시민의 정부를 표방한만큼 행정구역과는 다른 기초지자체장의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